안녕하세요, LPBA 팬 여러분!
당구의 매력에 푹 빠져 계신가요? TV 중계나 경기장 직관을 통해 선수들의 환상적인 샷을 볼 때마다 당구가 단순히 공을 치는 것을 넘어, 고도의 집중력과 기술이 필요한 예술임을 느끼게 됩니다. LPBA 블로그를 운영하며 많은 분들이 경기를 더 깊이 이해하고 싶어 하신다는 것을 알게 되었는데요. 그래서 오늘은 당구 경기를 100배 더 재미있게 즐길 수 있는 필수 당구 용어들을 총정리해 보았습니다.
우리가 흔히 쓰는 용어부터 선수들이 사용하는 전문 용어까지, 이 가이드를 통해 당구의 기초를 탄탄하게 다져보세요. 이 포스팅은 당구 입문자뿐만 아니라 LPBA 경기의 숨은 재미를 찾아내고 싶은 모든 팬들을 위한 완벽한 길잡이가 될 것입니다.
당구의 기본! 당구대와 공 관련 용어
- 당구대(table): 경기가 진행되는 직사각형의 테이블입니다. 쿠션(cushion)이라 불리는 고무로 둘러싸여 있으며, 공이 이 쿠션에 맞고 튕겨 나가는 특성을 이용해 다양한 샷을 구사합니다.
 - 쿠션(cushion): 당구대 테두리에 있는 고무 턱을 의미합니다. 선수들은 이 쿠션을 한 번 또는 여러 번 이용해 득점을 시도합니다. 짧은 쪽 쿠션을 쇼트레일(short rail), 긴 쪽 쿠션을 롱레일(long rail) 이라고 부릅니다.
 - 공(ball): 당구 경기에 사용되는 공입니다. 보통 캐롬 종목에서는 흰색 공 2개와 노란색 또는 빨간색 공 1개, 총 3개의 공을 사용합니다. 내 공인 수구는 흰색, 상대방의 수구는 노란색, 목적구는 빨간색이 일반적입니다. LPBA에서는 주로 3쿠션 경기가 진행되며, 수구(cue ball)를 이용해 목적구(object ball)를 맞히는 방식입니다.
 - 수구(cue ball): 내가 치는 공을 의미합니다. 당구 경기의 시작과 끝은 이 수구를 어떻게 컨트롤하느냐에 달려 있습니다.
 - 목적구(object ball): 내가 맞혀야 하는 공을 의미합니다. 3쿠션 경기에서는 두 개의 목적구를 모두 맞혀야 득점할 수 있습니다.
 - 초구(break shot): 경기의 시작을 알리는 첫 번째 샷입니다. 초구는 보통 당구대 중앙에 놓인 공을 쳐서 경기를 시작합니다.
 
선수들이 쓰는 기술 용어, 이것만 알아도 전문가!
당구 경기의 하이라이트는 역시 선수들의 기술력에 있죠. 다음 용어들을 알고 보면 선수들의 노련함에 더욱 감탄하게 될 겁니다.
- 회전(spin): 공에 회전을 주어 공의 진행 방향이나 쿠션에 맞고 튕겨 나가는 각도를 조절하는 기술입니다. 회전의 방향과 양에 따라 샷의 결과가 크게 달라집니다.
- 정회전(running english): 공의 진행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회전을 주어 쿠션에 맞았을 때 입사각보다 큰 반사각을 만듭니다.
 - 역회전(reverse english): 공의 진행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을 주어 쿠션에 맞았을 때 입사각보다 작은 반사각을 만듭니다. 흔히 '가오', '히까리', '오시' 등으로 불립니다.
 
 - 끌어치기(draw shot): 공의 아래쪽을 쳐서 역회전을 극대화해 목적구를 맞힌 수구가 다시 뒤로 돌아오게 하는 기술입니다. '히까리' 또는 '빽'이라고도 합니다.
 - 밀어치기(follow shot): 공의 윗부분을 쳐서 순회전을 극대화해 목적구를 맞힌 수구가 계속해서 앞으로 나아가게 하는 기술입니다. '오시'라고도 합니다.
 - 옆돌리기(side angle shot): 수구를 옆으로 비껴 쳐서 옆 쿠션에 먼저 맞히고 공을 득점하는 기술입니다.
 - 앞돌리기(inside rail first shot / tickle): 수구를 목적구의 앞쪽을 얇게 맞히고 앞 쿠션을 맞힌 뒤 득점하는 기술입니다.
 - 뒤돌리기(back shot / back spin): 목적구의 뒤쪽을 맞히고 뒤 쿠션을 맞힌 뒤 득점하는 기술입니다.
 - 대회전(grand rotation): 수구를 이용해 목적구를 맞히기 위해 테이블을 크게 돌리는 기술입니다. '하우스' 또는 '하쿠'라고도 불립니다.
 - 옆새우치기(side zig zag shot): 당구대에서 공이 '새우' 모양처럼 S자로 움직이며 득점하는 기술입니다. 회전을 이용해 공의 경로를 복잡하게 만듭니다.
 
더블 레일(double rail): 수구가 쿠션을 두 번 맞고 득점하는 기술입니다.

스코어와 전략에 관한 용어
경기의 흐름을 파악하는 데 도움이 되는 용어들입니다.
- 점수(score): 득점한 점수를 의미합니다. LPBA 3쿠션 경기에서는 정해진 이닝 안에 목표 점수를 먼저 달성해야 승리합니다.
 - 하이런(high run): 한 선수가 연속으로 가장 많은 득점을 기록한 것을 의미합니다. 한 경기에서 누가 하이런을 기록했는지 보는 것도 경기의 큰 재미 중 하나입니다.
 - 애버리지(average): 총 득점을 총 이닝 수로 나눈 평균 점수입니다. 선수의 기량을 객관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중요한 지표입니다.
 - 뱅크샷(bank shot): 수구가 목적구를 맞히기 전에 쿠션을 한 번 이상 맞고 득점하는 기술입니다. LPBA에서는 뱅크샷 득점에 2점이 주어지는 규칙이 있어 경기의 승패를 좌우하는 중요한 요소가 됩니다.
 - 투 뱅크 샷(two bank shot): 쿠션을 두 번 맞고 득점하는 뱅크샷입니다.
 - 쓰리 뱅크 샷(three bank shot): 쿠션을 세 번 맞고 득점하는 뱅크샷입니다.
 - 공타(empty shot): 득점하지 못하고 이닝을 넘기는 것을 의미합니다.
 
경기 상황에 따라 사용되는 용어
- 키스(kiss): 수구가 목적구를 맞힌 후 다른 공과 다시 부딪히는 것을 의미합니다. 의도치 않은 키스가 득점으로 이어질 수도, 실패로 이어질 수도 있습니다.
 - 키스신(kiss back): 수구가 목적구를 맞히고 되돌아와서 다시 목적구와 부딪히는 것을 말합니다.
 - 다이마이(tuch english): '맞고 회전'이라는 뜻으로, 공이 붙어 있을 때 강한 회전을 주어 공을 떼어내는 기술입니다.
 - 오픈 브릿지(open bridge): 큐대를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해 손가락으로 고리를 만드는 브릿지 방식입니다.
 - 닫힌 브릿지(closed bridge): 검지손가락으로 큐대를 감싸 쥐는 브릿지 방식입니다.
 - 샌드위치(sandwitch): 3개 공이 일렬로 나란히 서 있는 배치입니다. 선수들은 이 상황을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기술을 사용합니다.
 - 빈 쿠션 치기(no-english / center shot): 회전을 거의 주지 않고 쿠션만 맞히는 샷입니다. '무회전'이라고도 합니다.
 

마무리 하며
이제 LPBA 경기를 시청하실 때 이 용어들을 떠올려 보세요. 선수들의 샷 하나하나에 담긴 의도와 기술을 이해하게 되면 경기가 훨씬 더 흥미진진하게 느껴질 겁니다.
당구는 단순히 점수를 내는 게임이 아니라, 공의 움직임을 예측하고 섬세하게 컨트롤하는 고도의 전략 게임입니다. LPBA 선수들의 멋진 플레이가 어떻게 탄생하는지 이 용어 가이드를 통해 더 깊이 이해하시길 바랍니다.
다음 포스팅에서는 선수들의 인터뷰나 경기 후기 등 더 흥미로운 이야기를 들려드릴게요.
[웰컴저축은행 PBA 팀리그 2025-2026] 3라운드 대회요강, 경기방식, 일정 총정리
PBA 팬 여러분, 안녕하세요!드디어 [웰컴저축은행 PBA 팀리그 2025-2026] 3라운드가 개막합니다. 이번 라운드는 시즌 중반부를 향해가는 중요한 분기점으로, 각 팀의 순위 경쟁이 치열하게 전개될 것
big.info-toktok.com
[SY 베리테옴므 LPBA 챔피언십] 김가영 우승 & 4강(준결승)결과 🎱
2025년 8월 31일부터 9월 7일까지 고양 킨텍스 PBA 스타디움에서 열린 SY 베리테옴므 LPBA 챔피언십이 드디어 결승전을 앞두고 있습니다. 이번 대회는 LPBA 최고의 스타들이 총출동해 매 경기마다 명승
big.info-toktok.com
“필승 원더독스 라인업 총정리 | 김연경 감독과 7인의 언더독” 기대됩니다.
김연경 신인감독의 첫 창단팀 ‘필승 원더독스’의 주요 선수 라인업이 공개되었습니다.배구 팬들은 단순한 예능을 넘어, 이 팀이 실제 코트에서 어떤 모습을 보여줄지 벌써부터 기대감에 차
big.info-toktok.com
LPBA 대진표 보는 법 | 경기 일정부터 경기방식까지 한번에
LPBA(여자 프로당구 리그)의 경기를 처음 접하는 분들은 ‘대진표’를 보면서 헷갈리기 쉬운데요.📅 오늘은 LPBA 대진표를 어떻게 읽고, 경기 일정과 플레이오프 구조를 한눈에 파악할 수 있는 방
big.info-toktok.com
